전통건축용어

12-3. 지붕에 대하여

모호한이 2023. 6. 5. 19:29
728x90
반응형
SMALL
지붕마루

- 지붕마루 _ 울산 석남사 -

▶ 지붕면이 서로 만나는 부분에서는 지붕마루를 구성해 마감

▷ 지붕마루는 위치에 따라 세분되는데 종도리 위에 도리 방향으로 길게 만들어지는 것이 용마루임

▷ 그리고 팔작지붕에서 합각을 타고 내려오는 것이 내림마루이며 추녀 위 지붕마루는 추녀마루라고 함

▷ 팔작지붕은 세 개의 지붕마루가 모두 만들어지지만 우진각은 내림마루가 없으며 맞배는 추녀마루가 없고 모임지붕은 용마루와 내림마루가 없음

▷ 지붕마루를 만들 때 제일 아랫단에는 수키와와 암키와에 의해 만들어지는 요철에 맞는 삼각팬티 모양의 특수기와가 놓이는데 이를 착고(기와)라고 함

▷ 용마루에서는 착고 위에 수키와를 옆으로 눕혀 한 단 더 올리는데 이를 부고(기와)라고 함

▷ 부고 위에는 암키와를 뒤집어 여러 장 겹쳐 쌓는데 이를 적새라고 함

▷ 암키와 맨 위에는 수키와를 한 단 놓는데 이를 숫마루장이라고 함

▷ 지붕마루 양쪽 끝에서는 착고와 부고의 마구리 쪽에 수키와 두 장을 옆으로 눕혀 막아주는데 이를 머거불(기와)이라고 함

▷ 고대 건축에서는 이곳을 막아주는 귀면 이라고 하는 특수기와가 따로 제작되어 사용되었는데 지금은 수키와를 이용해 막기 때문에 마감이 깔끔하지 못함

▷ 궁궐건축이나 바람이 센 남부 해안지역에서는 지붕마루 전체를 회로 감싸 바르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양성(바름)이라고 하는데 문헌에는 양상도회라고 기록되어 있음

▷ 양상도회에 사용되는 주재료는 삼물이라고 하여 백토와 세사에 생석회를 섞은 것임

▷ 여기에 갈라짐을 방지하기 위해서 조선시대에는 백휴지를 물에 풀어 섞었으며 교착성을 높이기 위해 쌀풀이나 느릅나무 풀을 섞기도 했으며, 표면은 들기름을 발라 마감했음

초가지붕의 구성

- 초가지붕 _ 양동마을 강학당 -
- 국가문화유산포털 홈페이지 발췌 -

▶ 초가지붕은 서민들의 살림집에서 흔하게 사용했으며 추수 후 볏짚을 엮어 잇는 지붕

▷ 초가지붕은 대개 서까래 위에 산자 엮기를 하여 이를 바탕삼아 이어 나감

▷ 산자 엮기 위에는 기와지붕에서 보토하듯이 진흙에 여물 등을 썰어 넣은 것을 잘 이긴 다음에 골고루 깔아주는데 이를 알매흙이라 하고 기와지붕의 암키와 밑에 까는 흙과 이름이 같음

▷ 알매흙 위에는 탈곡하고 남은 짚이나 청솔가지 또는 낡은 이엉 등을 펴서 깔아 물매의 바탕이 되게 하는데 이를 군새라고 함

▷ 군새 위에는 볏짚을 엮어 만든 이엉을 일정한 간격으로 겹쳐 깜

▷ 지붕 용마루 부분에는 별도로 용마름을 엮어 올림

▷ 이엉을 다 잇고 나면 이엉이 바람에 날리지 않도록 새끼줄로 묶어 맴

▷ 이때 이엉을 묶어주는 새끼줄을 고사새끼라고 하며 고사새끼는 가로 엮기와 격자 엮기, 마름모 엮기 등이 많이 쓰임

▷ 고사새끼 끝은 서까래 끝에 고정해 놓은 연죽에 잡아맴

▷ 연죽은 긴 나무나 대나무 등으로 만들며 서까래 끝에 가로로 길게 고정한 것을 말함

▷ 이렇게 지붕잇기가 끝나면 처마 끝의 이엉을 가지런하게 잘라내 마무리하는데 이를 기스락 자르기라고 함

너와 지붕 및 굴피지붕의 구성

- 굴피지붕 _ 삼척 대이리 굴피집 -
- 국가문화유산포털 홈페이지 발췌 -

▶ 너와 지붕 및 굴피지붕의 구성은 같고 서까래 위에 가로목을 걸쳐대고 그 위에 너와나 굴피를 깜

▷ 너와나 굴피는 바람에 날리지 않도록 누름대나 누름돌을 설치하여 고정하고 누름대는 칡넝쿨 등으로 서까래에 묶어줌

▷ 너와나 굴피지붕은 강원도 산간의 까치구멍집에서 많이 사용되었음

▷ 너와는 사방 한 자 정도의 송판으로 두께는 한 치 정도이며, 도끼로 켜서 판재를 만듦

▷ 톱으로 켜면 섬유질이 나타나지 않고 골이 형성되지 않아 배수가 원활하지 않고 너와가 쉬 썩는데 나무 너와는 수명이 5년 정도라고 함

▷ 지역에 따라서는 점판암을 얇게 떠서 지붕에 올리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돌너와라고 함

▷ 굴피지붕은 굴피나무 껍질을 벗겨 너와처럼 이은 것

▷ 굴피나무는 껍질이 크게 잘 벗겨져서 산간에서 가끔 굴피나무 껍질로 지붕을 잇기도 함

▷ 나무너와와 굴피집은 강원도 신리와 대이리에 가면 볼 수 있다.

 

 

- 참고 문헌 : 알기 쉬운 한국건축 용어사전(김왕직) -

728x90
반응형
LIST