3. 공포의 배열
주심포형식
▶ 공포를 기둥 위에만 배열한 것을 주심포형식
▷ 공포형식으로 보면 포식공포 중에 대개 3포식과 익공식이 여기에 속함
☞ 법주사 원통보전과 같이 7포집이면서 주심포형식인 건물도 있지만 주심포형식은 고려이전 주심포건축이 대부분임
☞ 주심포건축은 주상포와 귀포가 특별히 구분되지 않는 경우가 많음
☞ 그것은 고려시대 주심포건축은 대개 맞배지붕이기 때문임
☞ 그러나 부석사 무량수전은 팔작지붕이기 때문에 주상포와 귀포가 서로 다름
▷ 현존하는 고려이전 주심포건물과 조선시대 다포건물을 비교하면 몇 가지 특징이 있음
☞ 주심포는 기둥 위에만 포를 놓기 때문에 다포에 사용되는 평방이 없음
☞ 부재가 전체적으로 정연하게 가공되고 조각이 많고 인공성이 강함
☞ 맞배지붕이 대부분이며 천장을 특별히 가설하지 않아 서까래가 노출되어 보임
☞ 장혀도 다포형식처럼 긴 것을 쓰지 않고 포 위에서만 짧은 것을 사용
☞ 그래서 장혀에 대비되는 개념으로 단혀라고 부름
▷ 익공을 사용한 주심포식공포는 주로 조선시대 부속건물이나 살림집에서 나타나는데 역시 기둥 위에만 포를 올렸고 주간에는 화반이라는 부재를 두어 장식겸 구조보강용으로 사용
▷ 주삼포에서도 화반이 있는데 동자주형화반이 대부분으로 단순하였으나 조선시대 익공양식에 이르러 다양하고 화려해짐
▷ 주삼포이면서도 봉정사 극락전은 복화반이라는 화려한 장식화반을 사용
☞ 화반은 다포형식으로 치자면 간포에 해당하는 부재
▷ 주심포를 일본에서는 소구미라고 하며 한국건축에서 영향을 받은 와요*라는 건축양식에 주로 사용
☞ 일본건축의 70%이상이 와요이며 이외에 젠슈우요, 다이부쯔요가 있음
☞ 젠슈우요는 한국 다포형식에 해당하는 것으로 쯔메구미라고 함
*와요 : 한국 고대건축의 영향을 받아 형성된 것으로 기둥 상부에만 공포를 올리는 주심포 형식이다.
다포형식
▶ 다포형식은 기둥 상부 이외에 기둥 사이에도 공포를 배열한 건축양식
▷ 기둥 위에 올라간 공포를 주상포라 하고 기둥 사이에 놓인 포를 간포라고 함
☞ 간포는 주간 크기에 따라 2-3개가 오기도 하며 모양은 주상포와 같음
☞ 그러나 귓기둥 위에서는 정면과 측면 첨차가 연이어 걸리고 45도 방향으로도 첨차가 사용되므로 모양이 다른데 이 부분에 놓이는 공포를 귀포라고 함
▷ 다포형식은 5포 이상의 포식건축에 많이 사용되며 고려 말에 나타나서 조선시대에 널리 사용
☞ 주심포형식에 비해서 지붕하중을 등분포로 전달할 수 있는 합리적인 구조법으로 작은 부재를 반복해 사용하는 표준화와 규격화를 추구한 건축양식
▷ 다포형식은 간포를 받치기 위해 창방 외에 평방이라는 부재가 추가되었으며 주로 팔작지붕이 많음
☞ 따라서 내부에서 측면 서까래 말구가 노출되어 보이므로 이를 가리기 위해 우물천장을 가설하는 경우가 많음
▷ 주심포에 비해 부재 자체의 세공은 덜하지만 첨차가 중첩해 만들어진 공포가 반복되어 놓인 모습이 건물의 수직성을 강조함과 동시에 화려한 장식미를 줌
▷ 다포형식은 주로 궁궐이나 사찰 등의 주요 정전에 사용되었으며 살림집에 다포형식을 쓴 예는 찾아 볼 수 없음
☞ 다포형식 중에서 특수한 사례로 완주 화암사 극락전이 있음
▷ 하앙이라는 부재를 사용하여 하앙식이라고 함
☞ 도리 바로 밑에 있는 살미부재가 서까래와 같은 경사를 가지고 처마도리와 중도리를 지렛대 형식으로 받고 있는 공포
☞ 하앙식공포는 한국에 현존하는 건물 중에서는 화암사 극락전이 유일하기 때문에 다포형식에서만 볼 수 있음
☞ 중국과 일본에서는 주심포형식에서도 흔하게 볼 수 있음
☞ 중국에서는 요, 금 시대 건물에 주로 나타나며 이후에는 사라짐
☞ 일본에서는 나라시대 와요건축양식에서부터 사용되기 시작하여 후대까지 꾸준히 이어짐
☞ 일본 나라시대 건축은 한국건축 영향 아래에 있었기 때문에 한국에서도 고대건축에서는 하앙이 많이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
- 참고 문헌 : 알기 쉬운 한국건축 용어사전(김왕직) -
'전통건축용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10-2. 가구에 대하여 (0) | 2023.05.16 |
---|---|
10-1. 가구에 대하여 (2) | 2023.05.14 |
9-4. 공포에 대하여[ㄴ.공포의 종류 : 민도리식, 포식, 익공식] (0) | 2023.05.04 |
9-3. 공포에 대하여[ㄱ. 공포의 구성부재 : 행공, 귀포, 안초공] (2) | 2023.05.02 |
9-2. 공포에 대하여[ㄱ.공포의 구성부재 : 첨차, 살미, 익공] (2) | 2023.04.2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