행공
▶ 행공은 3포식 및 익공식공포에서 주심에 놓인 도리방향 첨차
▷ 같은 공포에서 출목상에 놓인 것은 첨차
☞ 초익공에서는 익공과 교차하여 창방이 결구되기 때문에 행공이 사용되는 경우가 적지만 3포나 이익공에서는 상부 이익공과 직교하여 행공이 오는 경우가 많음
☞ 5포 이상의 공포에서는 이것에 해당하는 부재를 주심첨차라고 부름
☞ 따라서 모양과 기능은 같아도 포 형식에 따라 명칭이 다름
→ 지금까지 행공은 3포식공포에서 출목도리 밑을 받치는 부재를 지칭하는 것으로 통용
→ 오히려 이것은 첨차라고 정의
▷ 조선시대 건축보고서인 <영건도감의궤>에서는 일관되게 3포식이나 익공식공포에서 지금까지 주심첨차로 알려진 것을 '행공', 지금까지 행공으로 불렀던 출목첨차를 그냥 '첨차'라고 하였음
☞ 의궤에 따라 명칭을 바꾸는 것이 합당
▷ 행공은 또 평주에서만 생기지 않음
☞ 고주와 동자주에서 고주익공 및 동자주익공과 직교하여 결구되는 부재를 고주행공, 동자주행공 등으로 부름
귀포
▶ 귀포는 건물 모서리에 놓이는 공포로 정면과 측면에서 첨차와 살미가 교차하여 만나기 때문에 복잡
▷ 정면 첨차가 빠져나가 측면에서는 살미가 되며 반대로 측면 첨차가 정면에서는 살미가 됨
☞ 살미는 직각방향이 아닌 45도 방향으로도 빠져나오는데 이를 한대 또는 귀한대라고 함
☞ 한대나 좌우대도 살미이기 때문에 주상포 및 간포와 마찬가지로 제공, 익공, 운공 등의 부재로 구성
☞ 그리고 순서에 따른 명칭도 같음
▷ 현존하는 한국건축 귀포에는 한대와 함께 좌우대가 모두 갖춰진 것이 보통
☞ 그러나 일본 나라시대 7세기 말에서 8세기 초에 건축된 것으로 알려진 호류지 금당 및 5층탑과 호키지 3층탑은 귀한대만 있고 좌우대가 없음
☞ 이 건물들은 귀한대만 있기 때문에 처마하중을 받는 데 취약하여 다음 시대의 야쿠시지 동탑에서는 좌우대가 사용
☞ 중국에서 가장 오래되었다고 하는 당나라 782년에 지어진 난찬스 대전은 좌우대가 있어서 귀한대로만 구성되던 귀포형식이 8세기 말경에는 좌우대가 보강된 공포형식으로 바뀌었음.
▶ 귀포를 외부에서 볼 때 좌우대와 귀한대 위에 놓이는 첨차는 거리가 가까워 첨차를 별도 부재로 하지 않고 하나의 부재로 연결해 만드는 경우가 있음
▷ 귀포와 바로 옆 간포의 첨차 사이에도 이러한 현상이 나타남
☞ 이 경우 첨차가 서로 연이어 있다고 하여 병첨이라함
☞ 도매첨 : 내출목첨차 중에서는 첨차 끝이 밖으로 빠져나가 좌우대를 형성하지 못하고 내출목첨차끼리 90도로 만나 결구되는 첨차
→ 따라서 도매첨은 귀포에서만 생기는 것이지만 귀포라 할지라도 고산사 대웅전과 같이 도매첨이 없는 경우도 있음
☞ 귀방 : 귀포에는 귀한대를 받쳐주기 위해 양쪽 평방에 걸쳐 삼각형 모양의 판재를 놓는 것
안초공
▶ 창방과 직교하여 기둥머리에서 빠져나와 평방과 주두 또는 주두와 도리까지 감싼 부재
▷ 안초공은 주심상에서만 생기며 평방과 주두 등을 일체화 시키는 역할과 함께 장식적인 효과도 있음
▷ 안초공은 창덕궁 인정전, 화성 팔달문 및 장안문 등 규모 있는 다포형식 건물에서 볼 수 있음
☞ 사찰 대웅전 등에서는 파련형 안초공 대신에 용을 입체적으로 조각해 사용
▷ 안초공은 평주에만 사용하지 않고 고주에도 사용하는 경우가 있음
☞ 이때는 평주와 고주를 구분하여 평주안초공, 고주안초공이라고 부름
- 참고 문헌 : 알기 쉬운 한국건축 용어사전(김왕직) -
'전통건축용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9-5. 공포에 대하여[ㄷ.공포의 배열 : 주심포형식, 다포형식] (0) | 2023.05.10 |
---|---|
9-4. 공포에 대하여[ㄴ.공포의 종류 : 민도리식, 포식, 익공식] (0) | 2023.05.04 |
9-2. 공포에 대하여[ㄱ.공포의 구성부재 : 첨차, 살미, 익공] (2) | 2023.04.28 |
9-1.공포에 대하여[ㄱ.공포의 구성부재 : 주두, 소로] (2) | 2023.04.25 |
8-4. 기둥에 대하여[ㄴ.기둥의 종류-4] (0) | 2023.04.2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