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728x90
반응형
SMALL

건축용어42

20-1. 장엄 장식에 대하여 ▶ 장엄장식은 치장하고 장식하는 것으로 건축물이 어떤 의미나 상징성을 갖도록 해줌 ▷ 사람마다 이름이 있듯이 한국건축은 건물마다 이름이 있음 ▷ 이름에는 집 전체를 부르는 택호가 있고 다시 건물별로 당호가 있음 ▷ 택호는 집주인의 성향을 반영하며 당호는 건물의 쓰임을 반영하고 있음 ▷ 건물마다 이름을 부여하면 무생물체가 살아 있는 생물체와 같은 느낌을 줌 ▷ 또 한국건축은 많은 상징성들이 있음 ▷ 건축조각과 무늬장식을 통해 당시 추구했던 장수, 행복, 번영, 윤택을 이루려 했으며집안으로 들어오는 좋지 않은 기운과 액을 막아보려 했음 ▷ 이를 표현하기 위해 건축물에는 각종 문양과 장식들이 베풀어졌는데 기하학적이고 추상적인 문양을 비롯해 동식물문양, 문자문양 등으로 다양함 ▷ 이러한 문양들은 어린이들의 심성.. 2023. 8. 27.
19-2. 단청에 대하여 2. 무늬의 구성 머리초 ▶ 모로단청과 금단청에서 부재 양쪽 끝에 들어가는 꽃문양과 앞뒤 장식 부분을 지칭함 ▷ 다만 머리초의 종류는 주 문양인 꽃의 종류와 구성 형태에 따라 분류함 ▷ 꽃의 종류에 따라서는 연화, 주화, 파련화 등으로 구분하고 무늬의 구성 형태에 따라 일반머리초와 관자머리초, 병머리초, 장구머리초, 겹장구머리초 등으로 나눔 ▷ 배치 형태에 따라서는 온머리초, 반머리초 등이 있음 ▷ 머리초 주 문양 뒤에는 끝에서부터 먹당기, 실, 직휘가 오고 주 문양 앞으로는 휘와 쇠첩, 실, 직휘가 오고 주 문양 앞으로는 휘와 쇠첩, 실, 먹당기 순으로 배치됨 ▷ 먹당기는 검은색 먹선을 그린 것이며 실은 색선을 그린 것으로 녹실과 황실이 주로 많이 쓰임 ▷ 직휘는 폭이 넓은 수직선을 그린 것인데 색이나.. 2023. 7. 26.
19-1. 단청에 대하여 ▶ 단청은 단확이라고도 하며 목재표면에 바르는 칠공사의 일종으로 비바람에 의한 풍화나 병충해로부터 건축물을 보호하는 역할을 함 ▷ 단청은 건물의 격과 쓰임에 따라 내용을 달리했으며 단청에 사용되는 각종 문양은 화재와 잡귀를 막아주는 상징적인 의미를 담고 있음 ▷ 단청은 오행사상에 따라 적(붉은색), 청(푸른색), 황(노란색), 흑(검은색), 백(흰색)을 기본색으로 함 ▷ 안료는 조선시대까지는 천연안료를 사용했으나 요즘에는 화학안료를 씀 ▷ 천연안료에 비해 화학안료는 색이 차분하지 못하고 현란하며 뜨는 느낌이 있음 ▷ 또 방염도로와 화학반응을 일으켜 색이 퇴색되거나 수분에 의해 박리되는 현상을 보임 ▷ 천연안료는 모두 자연에서 체취한 것들임 ▷ 단청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옥색안료인 뇌록은 경상도 장기현(.. 2023. 7. 13.
18. 난간에 대하여 ▶ 난간은 목탑, 정자, 누마루, 툇마루 등의 외곽에 목재로 울타리를 돌려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마감시설 ▷ 궁궐 정전 월대나 돌다리 등 석조에는 나무가 아닌 돌난간을 설치했음 ▷ 난간은 선사시대 고상식건축에서부터 쓰였을 것으로 추정되며 역사시대 이후 다양하고 장식화하였음 ▷ 목조난간 유물로 출토된 것으로는 임해전지에서 발굴된 통일신라시대 파만자난간이 있음 ▷ 파만자난간은 실상사 백장암 3층석탑에서도 볼 수 있음 ▷ 일본 호류지, 중국 윈강석굴 등에서도 볼 수 있음 ▷ 기원전에 만들어진 인도 산치대탑의 난간은 돌난간인데 난간기둥을 세우고 횡으로는 타원형의 가로대를 보내 만들었음 ▷ 이러한 형태의 난간은 아잔타나 엘로라 등 인도의 많은 석굴조각에도 나타남 ▷ 따라서 난간 역시 지역적, 시대적 특징이 있음.. 2023. 7. 11.
728x90
반응형
LIST