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728x90
반응형
SMALL

건축용어42

6-2. 초석에 대하여 [방형초석, 다각형초석, 사다리형초석, 장주초석, 고맥이석과 고맥이초석, 활주초석, 심주초석, 특수형초석] 방형 초석 ▶ 방형 초석은 방주에 사용했는데 원형 초석에 비해 수가 현저히 적음 ▷ 궁궐과 사찰 등에서 방주를 많이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으로 추정 → 방형 초석은 백제시대에 비교적 잘 나타남 ▷ 통일신라시대 사천왕사지의 동서 제단지는 운두와 주좌가 거의 없는 것처럼 낮으며 가운데 쐐기 구멍이 있음 ▷ 방형 초석에는 기둥에서 모접기를 하는 것처럼 모죽임 방형 초석도 있음 ▷ 사례 : 통일신라시대 사천왕사지 동서 제단지와 부여 군수리 폐사지 초석, 법천사 서원지에서도 모죽임 방형 초석 사용 다각형 초석 ▶ 다각형 초석 = 육모 초석, 팔모 초석 → 이 중에서도 팔모 초석이 많음 → 기둥이 육각보다는 팔각이 많았기 때문 ▷ 육모 기둥이나 팔모 기둥은 정자와 같은 특수한 용도의 건물에 사용되므로 흔하지 않음 ▷.. 2023. 4. 11.
6-1. 초석에 대하여 [초반과 초석, 자연초석, 원형초석] ▶ 초석(주초) : 기둥 밑에 놓여 기둥에 전달되는 지면의 습기를 차단해주고 건물 하중을 지면에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것 ▷ 원시시대 움집의 경우에는 초석 없이 기둥을 땅에 박아 세우는 굴립주건축이 일반적 ☞ 굴립주는 기둥이 쓰러지거나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 ☞ 하지만 기둥이 잘 썩기 때문에 이음과 맞춤법이 발달하고 건물이 지상화하면서 지금과 같이 초석이 널리 사용 ☞ 그러나 움집에서도 땅속에 초석을 놓고 굴립주를 세우는 경우가 존재 ☞ 초석의 사용은 건물이 지상화되기 훨씬 이전부터 사용된 오랜 역사를 지님 ▷ 초석은 지상에 노출되기 때문에 민족적 정서에 따라 많은 조각과 장식이 발생 ☞ 재료도 돌이 일반적이지만 나무 초석이 있으며 흙으로 구운 테라코타를 사용한 사례가 있음 ☞ 나무 초석은 현재 한국에 남아.. 2023. 4. 10.
728x90
반응형
LIST