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 반응형 SMALL 건축용어42 10-2. 가구에 대하여 칠량가 ▶ 칠량가 이상은 일반 살림집에서는 찾아보기 어렵고 사찰이나 궁궐 등 큰 건물에서 볼 수 있음 ▷ 칠량 정도면 규모가 꽤 크기 때문에 앞뒤 평주를 하나의 대들보로 연결하는 이평주칠량집은 거의 존재하지 않음 ▷ 따라서 앞뒤에 퇴칸이 있는 이고주칠량가가 대부분 ☞ 지림사 대적광전, 금산사 대적광전, 봉정사 극락전의 정칸 가구, 무위사 극락전 등이 여기에 속함 ☞ 봉정사 극락전은 정칸과 협칸의 가구가 다른데 측면 가구는 가운데 어미 기둥이 종도리까지 올라가 있는 심고주칠량가로 매우 보기 드문 사례임 구량가 ▶ 구량가 이상은 매우 보기 어려움 ▷ 부석사 무량수전과 수덕사 대웅전은 이고주구량가인데 가구법이 조선시대와는 다름 ▷ 기둥이 아닌 툇보 위에도 도리가 걸려 있는데 이러한 가구 방식은 조선시대 건물에.. 2023. 5. 16. 10-1. 가구에 대하여 ▶ 가구는 집을 만드는 뼈대의 얽기를 말함 ▷ 가구를 구성하는 주요 구조부재는 기둥과 보와 도리이며, 이 세 부재의 구성방식에 따라 가구법을 세분, 즉 목조건축을 구성하는 주요 구조부재가 어떤 모양으로 만들어지느냐가 가구 종류임 ▷ 가구법은 평면 규모와 형식에 의해 결정되며 현대건축으로 치자면 단면형식을 말함 ▷ 평면형식은 생활방식이나 기후 등 자연여건에 따라 지역적으로 다를 수 있으므로 가구법도 이러한 구분이 가능 즉 평면형식에 따라 일정한 가구법이 사용되고 있다고 할 수 있음 ▷ 가구법의 가구숫자는 단면상 도리숫자에 의해 결정되는데 주심상에서 외출목과 내출목이 여러 개 있어도 가구법을 산정할 때는 하나로 계산, 즉 출목도리는 가구법 산정에 포함시키지 않음 삼량가 ▶ 서까래를 받치는 부재를 도리 → 양.. 2023. 5. 14. 9-5. 공포에 대하여[ㄷ.공포의 배열 : 주심포형식, 다포형식] 3. 공포의 배열 주심포형식 ▶ 공포를 기둥 위에만 배열한 것을 주심포형식 ▷ 공포형식으로 보면 포식공포 중에 대개 3포식과 익공식이 여기에 속함 ☞ 법주사 원통보전과 같이 7포집이면서 주심포형식인 건물도 있지만 주심포형식은 고려이전 주심포건축이 대부분임 ☞ 주심포건축은 주상포와 귀포가 특별히 구분되지 않는 경우가 많음 ☞ 그것은 고려시대 주심포건축은 대개 맞배지붕이기 때문임 ☞ 그러나 부석사 무량수전은 팔작지붕이기 때문에 주상포와 귀포가 서로 다름 ▷ 현존하는 고려이전 주심포건물과 조선시대 다포건물을 비교하면 몇 가지 특징이 있음 ☞ 주심포는 기둥 위에만 포를 놓기 때문에 다포에 사용되는 평방이 없음 ☞ 부재가 전체적으로 정연하게 가공되고 조각이 많고 인공성이 강함 ☞ 맞배지붕이 대부분이며 천장을 특별.. 2023. 5. 10. 9-4. 공포에 대하여[ㄴ.공포의 종류 : 민도리식, 포식, 익공식] 2. 공포의 종류 민도리식 ▶ 첨차나 익공 등의 공포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출목도 없는 결구법 ▷ 공포 종류로 분류할 수는 없지만 기둥과 도리 부분의 결구를 비교하는 의미에서 공포 종류로 분류하여 설명 ▷ 기둥머리에서 보와 도리가 직교하여 직접 결구 되는 구조 ☞ 보 밑에 짧은 받침 목을 두는 경우도 종종 있는데 이를 부르는 명칭은 특별히 없음 ☞ 보 받침 정도로 불러 보아지와 구분하는 것이 좋을 것, 두공으로 불러도 큰 무리가 없을 것 ☞ 보 받침과 직교하여 장혀 아래에 짧은 받침목을 두는 경우도 있는데 이는 장혀받침 정도로 부르는 것이 합당할 것 ☞ 보 받침을 두공이라고 한다면 장혀받침을 행공으로 불러도 문제가 없을 것 ▷ 익공식과 민도리식은 거의 유사한 구조인데 차이점은 익공식은 창방이 사용되지만 .. 2023. 5. 4. 이전 1 ··· 5 6 7 8 9 10 11 다음 728x90 반응형 LIST