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728x90
반응형
SMALL

전통건축용어6

4-2. 지정과 기초에 대하여 [장대석기초, 회축기초, 달고와 달고질, 개기식] 장대석기초 ▶ 지반이 특히 약하거나 건물 규모가 크고 하중이 클 때 사용 ▶ 생땅이 나올 때까지 웅덩이를 파고 장대석을 '井'자형으로 쌓아 올려 기초하는 방식 ▶ 장대석은 도로경계석처럼 생긴 방형 단면의 긴 화강석 ▷ 조선 후기에 중건된 경복궁 경회루와 남대문 및 동대문 기초가 장대석기초 ▷ 장대석기초는 물이 많고 지반이 특히 약한 곳에서 사용되었으나 흔한 기초는 아님 회축기초 ▶ 건물기초보다는 방수를 해야 하는 성벽 외곽의 퇴박석 아래나 옹성 위 바닥 면에 사용 ▷ 퇴박석은 성벽이나 담장 외곽에 일정한 폭으로 깔아 빗물을 성벽 바깥으로 배수시키기 위한 시설물 ▶ 고구려 산성에서부터 나타나며 백제 왕궁리 성곽뿐만 아니라 조선시대 화성에서도 사용된 전통적인 방법 ▷ 화성에서는 박석과 회를 교대로 쌓아 올림.. 2023. 4. 5.
1. 목재에 대하여 1. 개요 ▶ 전통 건축은 대부분 목재로 지어지므로 그 고유한 성질과 특성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 ▶ 목재는 자연과의 호흡이 중요하므로 건축 부재로 이용할 때도 주의를 필요로 함 ▶ 목재는 계절별로 성장 속도가 달라서 나무를 자르면 동그란 나이테가 형성 ▶ 추재 : 얇고 진한 선이 가을과 겨울에 자람, 질기고 단단 ▶ 춘재 : 봄과 여름에 성장한 부분은 두껍고 색이 엷으며 연함 ▶ 어느 방향으로 사용하느냐에 따라 휘는 방향, 건조에 의한 수축, 갈라짐 등의 특성이 다름 2. 침엽수와 활엽수 ▶ 침엽수 ▷ 한옥에 주로 사용되는 목재, 대부분 소나무임 ▷ 삼국시대까지 활엽수인 참나무가 많이 쓰이다가 고려시대부터 침엽수인 소나무가 주로 쓰임 ▷ 참나무가 건축 부재로 쓰임이 줄기는 했지만, 조선 전기와 중기 사찰.. 2023. 3. 28.
728x90
반응형
LIST