장대석기초
▶ 지반이 특히 약하거나 건물 규모가 크고 하중이 클 때 사용
▶ 생땅이 나올 때까지 웅덩이를 파고 장대석을 '井'자형으로 쌓아 올려 기초하는 방식
▶ 장대석은 도로경계석처럼 생긴 방형 단면의 긴 화강석
▷ 조선 후기에 중건된 경복궁 경회루와 남대문 및 동대문 기초가 장대석기초
▷ 장대석기초는 물이 많고 지반이 특히 약한 곳에서 사용되었으나 흔한 기초는 아님
회축기초
▶ 건물기초보다는 방수를 해야 하는 성벽 외곽의 퇴박석 아래나 옹성 위 바닥 면에 사용
▷ 퇴박석은 성벽이나 담장 외곽에 일정한 폭으로 깔아 빗물을 성벽 바깥으로 배수시키기 위한 시설물
▶ 고구려 산성에서부터 나타나며 백제 왕궁리 성곽뿐만 아니라 조선시대 화성에서도 사용된 전통적인 방법
▷ 화성에서는 박석과 회를 교대로 쌓아 올림
☞ 옹성 상부 바닥에서는 빗물이 누수될 경우 옹성 내부로 침투되어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바닥을 회축으로 하고 다시 보호층을 둠
☞ 이때 사용된 회는 100% 생석회가 아니고 삼물이라고 하여 생석회, 진흙, 세사를 섞은 것으로 이 삼물은 용마루에 양성바름 할 때도 사용
☞ 건물에서는 적심석 등으로 기초를 한 다음 최상부 한 층은 방수를 위해 회축하는 경우도 있음
※ 기타 기초법으로 탄축법이 있다. 백제시대 풍납토성을 단면 조사했을 때 숯을 다져 넣은 층이 발견되었다.
숯이 정확히 어떤 역할을 하는지 아직은 잘 모르지만 해인사 장경판전 기초도 탄축으로 했다고 전한다.
달고와 달고질
- 국가문화유산포털 홈페이지 발췌 -
▶ 대부분의 기초법에서 다짐에 사용되는 연장이 달고 → 이를 이용하여 땅을 견고하게 하는 일을 달고질 또는 지경닫기
▷ 돌로 만든 것을 돌달고, 나무로 만든 것을 나무달고
▷ 화성 축성공사 기록인 <화성성역의궤>에 돌달고와 나무달고 그림
☞ 돌달고
→ 절구통처럼 생긴 잘록한 부분에 동아줄을 여러 가닥 매어 사용
→ 동아줄을 매서 사용하기 때문에 여러 사람이 작업할 수 있으므로 큰 건물의 기초 다지는 일에 사용
☞ 나무달고는 통나무에 달굿대라는 손잡이를 달고 크기에 따라 2-4개 정도 달아 높이 들었다 놓으면서 다짐
☞ 돌달고 이외에 쇠달고, 앙코르와트에서는 지금도 문화재 수리하는 데 절구공이처럼 생긴 일인용 긴 몽둥달고를 사용
▷ 달고질 할 때 지반을 더욱 단단하게 하기 위해 잿물을 만들어 뿌리거나 숯을 넣어 가며 다지는 탄축법을 사용
▷ 염전의 앙금 앉은 석고 재료를 걷어다가 뿌리면서 다지는 염축과 같은 특수한 방법
▷ 조선시대에는 달고패라고 하는 달고질만을 전문적으로 하는 집단 → 보통 11명으로 구성되며 좌우에 5명씩 10명이 동아줄을 잡고 달고질을 하는데 한 명은 작업능률을 높이고 피로감을 덜기 위해 장구치고 소리메김
☞ 이때 하는 노래가 지신밟기 노래이며 전국적으로 분포
개기식
▶ 건축공정에서 제일 먼저 시작되는 일이 기초 다지는 일
▷ 이를 '건물 지을 터를 처음으로 연다(시작한다)'는 의미에서 개기한다고 말함
▶ 개기는 대목들이 주관하고 건축주가 참여하는 것이 보통이며 보통 아침나절에 이루어짐
▷ 개기와 동시에 한쪽에서는 목수 일이 시작되며 건축의례 중의 하나인 개기식을 거행
☞ 토지를 주관하는 지신에게 그 땅을 이용한다는 것을 알리는 텃고사와 대목들이 공사의 시작을 알리는 모탕고사를 함께 지냄
▷ 텃고사는 집주인이 주관하며 좋은 날을 받아 정성스레 준비한 술, 과일, 포, 소금, 향, 초 등을 준비하여 지냄
☞ 텃고사는 토지신에게 고하는 것으로 땅을 깊이 파서 깨끗한 흙을 열고 반드시 생땅을 본 뒤에 그침
☞ 혹시 나무뿌리나, 사람 모발 및 다른 더러운 물건이 있으면 모두 제거
▷ 모탕고사는 대목들이 주관, 대목들의 작업대를 '모탕'이라고 한 데서 유래
☞ 모탕고사는 집주인이 음식을 준비하고 대목이 지냄
- 참고문헌 : 알기쉬운 한국건축 용어사전(김왕직) -
'전통건축용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5-2. 기단에 대하여 [가구식기단, 전축기단, 와적기단, 혼합식기단] (0) | 2023.04.07 |
---|---|
5-1. 기단에 대하여 [토축기단, 자연석기단, 장대석기단] (0) | 2023.04.06 |
4-1. 지정과 기초에 대하여 [토축.항토기초, 입사기초, 적심석기초] (0) | 2023.04.04 |
3. 건축 구조에 대하여 (0) | 2023.04.02 |
2-3. 건축 유형에 대하여 [유교건축, 원림과 누정, 탑] (0) | 2023.04.0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