가구식기단
- 국가문화유산포털 홈페이지 발췌 -
▶ 고급스러운 기단으로 주로 고려 이전 건물
▶ 화강석을 목가구 짜듯이 구성하기 때문에 가구식기단
▷ 지면에 지대석을 놓고 그 위에 건물 기둥을 세우듯 일정한 간격으로 기둥석을 세움
☞ 우주석 : 기단 모서리에 세워지는 기둥석, 탱주석 : 중간 기둥석,
☞ 면석(청판석) : 기둥과 기둥 사이를 막는 얇은 판석
▷ 다시 그 위에는 수평으로 길게 돌을 얹어 완성하는데, 이 돌을 갑석
▷ 기둥석 없이 지대석과 갑석 사이에 면석만을 연결해 만든 것도 있음
☞ 기둥석이 없는 가구식 기단 : 백제 미륵사지 동서금당 및 탑 기단, 통일신라 감은사지 금당, 성주사지 금당, 거둔사지 금당, 고려시대 부석사 무량수전, 조선시대 쌍봉사 대웅전
▷ 탱주석과 우주석이 모두 갖추어진 가구식기단의 대표적인 실례 : 통일신라시대 불국사 대웅전과 극락전
▷ 통도사 대웅전은 면석에 꽃을 조각해 화려하게 장식
전축기단
- 국가문화유산포털 홈페이지 발췌 -
▶ 벽돌로 만든 기단을 말하며 흔하게 볼 수 있는 기단은 아님
▷ 실례 : 조선 정조 때 만들어진 수원 화성의 방화수류정과 화성 행궁 낙남헌
☞ 이 건물들도 기단 전체를 모두 벽돌로 쌓은 순수 전축기단은 아니고 화강석으로 가구식기단처럼 지대석과 기둥석 및 갑석을 구성하고 면석대신 벽돌로 막은 것
☞ 엄격한 의미에서 석전혼합식 기단이지만 통상 전축기단으로 부름
와적기단
▶ 기와조각을 쌓아 만든 기단
▷ 건물은 남아있지 않지만 백제 군수리사지 금당과 강당, 능사 공방지, 왕흥사 서회랑지, 부소산성 서문지, 금성산 건물지 등에서 발굴
▷ 백제 건물에서 많이 출토되었고 신라 통일 후에도 보이며, 일본에 전파되어 나라시대 건물에서도 다수 발굴
▷ 쌓는 모양에 따라
☞ 평적식 : 옆으로 길게 뉘어 쌓은 것
☞ 합장식 : '人'자 모양으로 연결해 쌓음
☞ 수직 횡렬식 : 세워 쌓음
▷ 일본에서는 7~8세기 돗토리현의 상정폐사와 나라의 회외사진, 오사카의 전변폐사, 교토의 고려사와 견원폐사 등 한국에서 건너간 사람들이 조성한 사찰에서 주로 나타남
혼합식기단
- 국가문화유산포털 홈페이지 발췌 -
▶ 두 종류 이상의 기단을 혼합
▷ 조선 초 지어진 강진 무위사 극락전은 자연석기단 위에 가구식기단을 설치
☞ 자연석을 일정한 높이까지 쌓고 이것을 지대석 삼아 면석을 설치
☞ 면석이라기 보다는 장대석이라고 불러야 할 정도로 높이가 낮고 긴 면석을 사용
☞ 맨 윗단은 갑석을 약간 밖으로 튀어나오도록 설치
▷ 혼합식기단의 절묘함과 아름다움을 여실히 보여주는 실례는 통일신라시대 불국사 전면의 석축
☞ 자연석기단 위에 가구식기단 설치 → 굵은 자연석을 아래에 놓고 잘 가공한 가구식기단을 설치
☞ 거침과 고움이 시각적으로 조화를 이루며 안정감 형성
▷ 단일건물 기단은 아니지만 대웅전과 극락전 전면 회랑 기단이며 석축으로 한국 석조예술의 꽃
▷ 통일신라시대 재상이었던 김대성에 의해 23년에 걸쳐 만들어진 작품
- 참고 문헌 : 알기 쉬운 한국건축 용어사전 -
'전통건축용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5-4. 기단에 대하여 [기단의 발달과 역할] (0) | 2023.04.09 |
---|---|
5-3. 기단에 대하여 [귀틀석, 월대, 댓돌, 방전, 디딤돌, 계단] (2) | 2023.04.08 |
5-1. 기단에 대하여 [토축기단, 자연석기단, 장대석기단] (0) | 2023.04.06 |
4-2. 지정과 기초에 대하여 [장대석기초, 회축기초, 달고와 달고질, 개기식] (0) | 2023.04.05 |
4-1. 지정과 기초에 대하여 [토축.항토기초, 입사기초, 적심석기초] (0) | 2023.04.0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