귀틀석
▶ 기단 모서리 갑석은 'ㄱ'자 형태가 일반적
▷ 모서리 갑석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벌어지기 쉬움
☞ 이를 방지하기 위해 처음부터 통돌로 'ㄱ' 형태로 만들어 설치
▷ 중국과 일본에도 있으나 보기 어렵고 한국에서는 보편적으로 사용
월대
- 국가문화유산포털 홈페이지 발췌 -
▶ 월대 : 경복궁 근정전이나 창덕궁 인정전 및 창경궁 통명전 등과 같이 중요건물의 건물 앞에 넓은 대를 만들어 놓는 것
▷ 행사용으로 사용하기도 하고 건물의 격을 높여주는 역할
▷ 궁궐에서는 정전과 편전, 침전 등 중심축 선상에 있는 중심 건물에는 대부분 월대가 있으며 성균관의 명륜당이나 사찰 주요 전각에 월대가 만들어지기도 함
댓돌
- 국가문화유산포털 홈페이지 발췌 -
▶ 기단을 구성하는 돌
▷ 기단은 서민들의 살림집에서는 낮고 양반집이나 궁궐에서는 높음
☞ 한 단으로 만들어진 기단을 외벌대라 하고, 두 단은 두벌대, 세 단은 세벌대
방전
▶ 기단 바닥은 살림집에서는 보통 강회다짐으로 마감
☞ 궁궐과 사찰 및 권위건축에서는 흙으로 구운 보도블록 형태의 방전 설치
▷ 방전은 고려시대 이전에는 기단뿐만 아니라 사찰, 살림집, 궁궐 등 주요 건물의 내부 바닥에도 사용
▷ 백제시대 부여에서 출토된 방전에는 산수문, 봉황문, 와운문 등 다양한 문양전이 출토되었는데 바닥뿐만 아니라 벽체 등에도 널리 사용
디딤돌
▶ 기단에서 마루로 오르는 곳은 높기 때문에 디딤돌을 설치
▷ 서민들 살림집에서는 기단에 어울리는 자연석을 설치
▷ 장대석 기단을 설치한 양반집에서는 기단과 같이 장대석을 설치
계단
- 국가문화유산포털 홈페이지 발췌 -
▶ 기단에 오르기 위한 시설물로 기단 종류에 따라 어울리는 형태와 재료로 만들어지며 시대별로 다양
▷ 토축 기단과 자연석 기단에서는 자연석으로 설치,
▷ 장대석 기단과 가구식 기단에서는 장대석으로 설치
☞ 장대석 계단은 디딤돌 양 측면을 막아 마무리 → 양 측면을 막은 판석을 계단면석
☞ 계단면석
→ 통돌로 만드는 경우
→ 가구식기단과 같이 면석 아래에 지대석을 받치고 면석 위에 기단 갑석과 같이 소맷돌을 경사지게 설치
→ 때로는 통돌에 지대석과 면석, 갑석을 새겨 설치
▷ 법수석 : 불국사 연화교, 칠보교 및 청운교, 백운교와 같이 계단에 난간이 있는 경우에는 소맷돌이 시작되는 부분에 기둥석을 세워 난간대를 고정
▷ 난간이 없는 경우에도 법수석에 태극과 구름, 연꽃 등 문양을 베풀기도 하며 송광사 일주문에서와 같이 사자 조각을 하기도 함
▷ 고려시대 계단 : 일반적으로 통돌이 많고 면석과 소맷돌을 구분하지 않고 소맷돌 모양을 둥글게 무지개 모양으로 만들고 법수석을 동그랗게 만들어 그 안에 태극이나 연꽃을 조각한 것이 많음
▷ 종묘 정전 동쪽 계단
☞ 삼도형식으로 만들고 무지개형 소맷돌에 법수석은 구름을 새김
→ 종묘 정전이 구름 속 무지개 위에 올라가 있는 모습을 상정한 것으로 상징성의 극치
▷ 기단에 오르는 계단은 돌계단이 일반적이지만 누 등에 오르는 계단은 나무 계단이 보통
- 참고 문헌 : 알기쉬운 한국건축 용어사전(김왕직) -
'전통건축용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6-1. 초석에 대하여 [초반과 초석, 자연초석, 원형초석] (0) | 2023.04.10 |
---|---|
5-4. 기단에 대하여 [기단의 발달과 역할] (0) | 2023.04.09 |
5-2. 기단에 대하여 [가구식기단, 전축기단, 와적기단, 혼합식기단] (0) | 2023.04.07 |
5-1. 기단에 대하여 [토축기단, 자연석기단, 장대석기단] (0) | 2023.04.06 |
4-2. 지정과 기초에 대하여 [장대석기초, 회축기초, 달고와 달고질, 개기식] (0) | 2023.04.0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