충량
▶ 측면이 두 칸 이상인 건물에서 생김
▷ 가운데 기둥이 있고 내부에서는 앞뒤 평주에 대들보를 건너질러 내부 기둥을 생략한 경우 측면 가운데 기둥에서 내부로 연결되는 보는 한쪽은 측면 평주에 걸리지만 내부 쪽은 기둥이 생략되었으므로 대들보와 연결하게 됨
▷ 이처럼 한쪽은 대들보에 걸리고 반대쪽은 측면 평주에 걸리는 대들보와 직각을 이루는 보를 충량이라고 함
▷ 충량은 다른 보와 같이 수평으로 걸리지 못하고 대들보 쪽이 높기 때문에 굽은 보를 사용하는 것이 보통
☞ 물론 측면에서도 퇴칸이 생기고 내진 고주가 있는 경우에는 전·후면과 같이 툇보를 걸게 됨
☞ 사찰 대웅전과 같이 측면이 세 칸으로 규모가 큰 경우에는 충량이 두 개 걸리기도 함
☞ 충량 위에서는 대개 외기도리가 'ㄷ'자로 엮어지며 외기를 받쳐주는 역할도 함
☞ 그리고 이 외기도리에 의지해 측면 서까래를 걸고 외기도리가 직교하는 모서리에는 추녀를 거는 경우가 많음
☞ 충량이 있음으로써 외기의 빠짐 길이를 자유롭게 할 수 있으며 합각지붕의 구성에 제약받지 않음
☞ 따라서 합각지붕을 많이 사용한 조선시대 건물에서 충량의 사용이 현격함
▷ 대들보 위에 걸쳐지는 충량 머리는 대웅전과 같은 불전에서는 용머리를 조각해 장식하는 것이 일반적
☞ 일반 건물에서는 주먹장으로 하여 대들보 옆에 끼워 넣는 경우가 많음
귓보와 귀접이보
▶ 귓보는 건물 모서리에서 45도로 빠져나간 보를 말함
▷ 충량의 본격적인 사용은 조선시대부터라고 추정
▷ 충량이 사용되기 이전에는 추녀를 받쳐주고 외기를 지지하기 위해 귓보를 걸었음
☞ 부석사 무량수전과 남대문 등에서 볼 수 있는데 부석사 무량수전은 내부 귓기둥과 외부 귓기둥을 연결하는 귓보를 걸어 그 위에 외기를 받침
☞ 귓보도 일반 다른 보들과 같이 홍예보 형식으로 정연하게 만듦
▷ 귀접이보는 건물 모서리에서 'ㄱ'자로 연결되는 창방 등의 안쪽에 45도로 거는 보를 말함
☞ 건물이 평면적으로 뒤틀리는 것을 방지해주는 일종의 가새와 같은 역할도 함
☞ 고구려 고분벽화에 나타나는 귀접이천장을 연상시킴
☞ 목탑에서는 체감을 위해서 위층으로 올라갈수록 기둥을 안쪽으로 들여 주는데 모서리에서는 45도 방향으로 들여세워야 하므로 귓보나 귀접이보를 걸어 그 위에 상층 귓기둥을 세우는 경우가 많음
우미량
▶ 고려이전 주심포건물에서 주로 사용
▷ 단차가 있는 도리를 계단형식으로 상호 연결하는 부재를 말함
▷ 직선 부재가 아니고 소꼬리처럼 곡선으로 만들어져서 붙여진 이름
☞ 크기가 작으며 다른 보처럼 기둥을 연결하는 것도 아님
☞ 따라서 엄격한 의미에서 보라고 할 수 없는데 현재는 우미량이라고 하여 보의 범주 속에 넣고 있음
☞ 수덕사 대웅전 종단면을 보면 종도리를 기준으로 양쪽에 각각 세 개씩 여섯 개의 우미량이 걸려있는 것을 볼 수 있음
▷ 다포형식이나 익공형식에서는 나타나지 않아서 우미량은 주심포건물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음
창방
▶ 기둥머리를 좌우로 연결하는 부재
▷ 민도리집은 창방이 없고 도리가 바로 기둥머리 위에서 결구 되어 서까래를 받음
☞ 이때 도리는 창방과 비슷한 방형 납도리를 쓰는 경우가 많고 도리 밑에는 장혀를 따로 두기도 함
▷ 익공형식에서는 기둥머리를 사갈로 트고 익공과 창방이 십자로 만남
▷ 간포가 있는 5포 이상의 포식건축에서는 창방 위에 평방이 놓이며 기둥머리에서 보방향으로 빠져나오는 장식 부재 등이 없기 때문에 기둥머리를 양갈로터서 창방만을 설치
☞ 때로는 양갈도 트지 않고 주먹장만으로 창방과 결구하기도 함
☞ 그러나 귓기둥에서는 창방이 서로 교차하여 십자로 만나기 때문에 사갈로 틈
▷ 십자로 교차하는 창방은 기둥머리에서 업힐장 받을장으로 하여 반턱맞춤이 되며 창방머리는 어느 정도 기둥으로부터 빠져나오도록 하며 이를 창방뺄목이라고 함
☞ 창방뺄목은 창방 높이의 1-1.5배 정도이며 조각으로 장식하는 것이 일반적
☞ 뺄목장식도 건물마다 다르기 때문에 건물 의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
▷ 창방은 평주에만 걸리는 것이 아니라 때로는 동자주와 대공 사이에도 걸림
▷ 일반적으로 동자주와 대공에 걸린 창방을 위치를 구분하지 않고 뜬창방 또는 별창방으로 부르기도 하지만 둘을 구분하여 동자주창방과 종창방이라고도 함
▷ 돈화문과 같은 중층건물에서는 중간에 지붕이 있기 때문에 기둥 중간에 창방을 건너지르고 여기에 의지해 서까래를 검
☞ 마치 소에 멍에를 걸듯이 했다고 하여 멍에창방이라고 함
- 참고 문헌 : 알기 쉬운 한국건축 용어사전 -
'전통건축용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10-5. 가구에 대하여 (0) | 2023.05.24 |
---|---|
10-4. 가구에 대하여 (0) | 2023.05.22 |
10-2. 가구에 대하여 (0) | 2023.05.16 |
10-1. 가구에 대하여 (2) | 2023.05.14 |
9-5. 공포에 대하여[ㄷ.공포의 배열 : 주심포형식, 다포형식] (0) | 2023.05.10 |